1.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이해하는 능력
좋은 일러스트레이션을 제작하기 위해서
일러스트레이터는 무엇보다 글의 내용을 잘 파악해야 한다.
글 속에 들어 있는 사건, 인물, 장소 등의 간단한 해석에만 의존하지 않고
본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학에 대한 이해와
글의 해석과 분석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좋은 일러스트레이션이란 글에 대한 그림의 체계적인 표현이 아니라
대상에 대한 느낌과 본질을 표현하는 것이다.
회사나 클라이언트가 시키는 일 말고 자기가 하고 싶은 것을 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자기가 이야기를 쓰는 것이다.
직접 쓰고 그린 그림책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글쓰기와 스토리 작성의 능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2. 시각 이미지로 전환하는 능력, 이미지메이킹, 비주얼랭귀지
현대 일러스트레이션이 추구하는 이미지는
예술적 가치가 있는 조형언어인 시각언어 예술이라 할 수 있다.
"한 장의 일러스트레이션은 천 마디 말의 가치가 있다."란 말이 있다.
일러스트레이터가 맹목적으로 그림만 잘 그리려고 하는 자세에서 나아가
일러스트레이션의 이론적인 배경인 예술사,
미학, 조형론 등이 바탕으로 된 작업이어야 한다.
또한, 일러스트레이터의 주관적 특질인 개인적 시각 어법과
독창적인 개성을 갖추기 위한 표현기법 및 양식과 색채들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며
드로잉과 페인팅 조형 실기의 기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3. 커뮤니케이션 능력
일러스트레이션의 중요하고 매력적인 면은 독창적인 발상으로 대중과 소통하고 공감하기이다.
시각언어로 대화하기 위해 대상의 특성을 이해하고
문화를 이해하고 응용할 수 있는 지식이 필요하다.
커뮤니티를 위한 시각언어 만들기 전에 생각해보자.
정확히 무엇을 이루어 내고자 하는가?
문제를 처음부터 올바르게 이해하고 있는가?
개념이 어떻게 시각언어로 전달될 수 있는가?
어떤 구체적인 시각적 효과나 지적 효과가 요구되는가?
사실, 추상, 디자인적, 상징적 스타일릭한 요구가 있는가?
크기, 색, 매체 등이 어떤 물리적 한계가 부과되는가?
4. 디자인 능력
일러스트레이터는 자신의 작업을 시각 정보 전달 매체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시각 디자인에 대한 이해와 출판 인쇄 과정을 이해하는 지식과 기능을 필요로 한다.
책 디자인에 필요한 편집과 레이아웃, 타이포 그래픽,
컴퓨터 활용을 위한 지식과 기능을 익히고 공부해야 한다.
특히 일러스트레이터가 주도하는 그림책 작업은
더미북에서 끝나지 않고 편집에서 인쇄 제본까지 함께 작업하는 것이 좋다.
5. 자료조사 능력
일러스트레이션 할 자료조사와 고증을 할 수 있는 지식이 필요하다.
그리고 타인 또는 자료를 통한 간접조사와 현장에서
직접 경험하는 직접 조사 등 시각 이미지화를 할 수 있는
풍부한 자료를 조사하고 활용하는 능력도 필요하다.
유능한 일러스트레이터는 자료수집의 정보를 어떻게 습득할 것인지와
방대한 자료를 정리하는 것에도 능숙해야 한다.
자료 조사 과정은 전체 작업의 반 이상을 차지하면
이 과정을 통해서 아이디어를 얻고 주제를 어떻게 다룰지 결정하게 된다.
- 리서치하기 -
자연물 조사, 인공물 조사, 계절에 따른 분위기 조사,
시간에 따른 분위기 조사, 산, 바다, 들, 숲, 시골, 도시, 기타 환경 조사.
서민층, 중산층, 상류층, 기타 생활의 삶 조사...
6. 프레젠테이션 능력
작업 기획 의도에 따른 비주얼 콘셉트의 이해와 시각 이미지로
클라이언트를 설득시킬 수 있는 화술 기법의 능력과 지식이 필요하다.
청탁받아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가끔 잘못된 수정사항을
요구하는 때도 있는데 프레젠테이션의 능력이 부족한
일러스트레이터는 당황하거나 논쟁을 하게 된다.
클라이언트의 취향에 맞추는 작업도 중요하나 자신의 아이디어 전개와
개성 있는 시각언어의 장점에 관해 확신을 심어주는 설득력을 갖추어야 한다.
7. 그 밖의 능력
작업의 체계적인 단계화와 스케줄과 시간 관리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아트디렉터나 편집자, 클라이언트들에게 신뢰를 쌓아나가는 능력뿐 아니라
트렌드를 이해하는 능력과 기획 및 기획안 작성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제품화와 유통과정의 이해 능력, 시장분석과 판매할 수 있는 마케팅 능력 등
"자신이 곧 회사다."라는 경영 마인드가 필요하다.
일러스트레이터로 삶을 살기 위해 24시간 예술적 긴장과 함께
항상 창조적인 시각언어의 마술사가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또한, 그림을 잘 그리는 것뿐 아니라 기획 전시나 그룹 전시를 통해
일러스트레이터로서 활동하기 위한 좋은 인프라를 구성해야 한다.
[출처]
lucitopia.egloos.com/viewer/3793125
'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자이너의 대우와 수명에 대해 (0) | 2019.01.07 |
---|---|
좋은 일러스트레이션의 조건 (0) | 2019.01.07 |
당신의 수명을 10년은 연장하는 게임 (0) | 2019.01.07 |
디자이너 해외취업 가이드북 (0) | 2019.01.07 |
디자이너를 말한다 (0) | 2019.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