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예술과 디자인의 차이를 찾는 것은 자칫 말장난이 될 수 있다.

디자인은 분명히 예술의 한 측면임에도 불구하고 따로 떼어져 예술과 비교됨으로써 갈구한다.

이는 예술에서 디자인을 인식한 짧은 역사를 고려할 때 

디자인의 존재적 가치를 살핀다는 측면에서 말장난일지라도 그 노력은 의미가 있다.

 

지구상의 많은 분야의 역사가 그랬다.

과학, 수학, 인문학 등 분야 대부분은 종교와 철학의 일부였지만 

지금은 독립된 존재로서 그 가치가 인정된다.

예술과 디자인의 차이를 말할 때 단순 비교는 불가능하다. 어떤 기준이 필요하다.

최근 나는 이 사회의 "보편적 가치"를 기준으로 두고 예술과 디자인의 차이를 인식했다.

시대의 "보편적 가치"를 기준을 할 때 예술은 무한히 자유롭지만, 디자인은 무한히 제한된다.

예술가의 교양은 보편적 가치에서 벗어나지만 디자이너의 교양은 보편적 가치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아래는 이런 의견에 대한 장황한 설명이다.

 

 

 

예술(예술가)은 사회의 보편적 가치에 저항한다.

 

우리는 예술의 이런 저항을 인정함으로써 가치를 인정한다.

당연하다고 혹은 부조리하다고 느끼는 것, 

동의하거나 동의하지 않는 것 모든 것이 예술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예술은 언제 어디서나 반대할 자격이 있다.

이 사회가 지극히 당연하다고 느끼는 보편적 가치를 자극할 수 있다.

즉, 예술은 사회와 대척점을 될 수 있는 권리를 인정받는 유일한 분야다.

 

톨스토이는 예술이 인간의 감정을 역사적으로 전달한다는 측면에서 

건전한 감정, 건전한 사회성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나는 이 의견에 동조하지만, 예술은 그 어떤 제한도 제약도 없어야 한다는 점에서 

톨스토이의 주장도 일종의 제한이자 제약이라고 반박할 수 있다.

예술은 시공간에서조차 자유롭다. 예술의 자유는 언제 어디서든 인정받아야 마땅하다.

예술이 어떤 대상을 반대하고 찬양하는 것은 자유다.

타협은 억압을 의미한다. 이런 점에서 예술은 늘 도도하며 콧대가 높다.

 

 

 

반면 디자인(디자이너)은 어떤가?

 

그 시작의 논란은 있지만, 디자인은 역사적으로 자본주의의 한계성 내에서 존재해왔다.

자본주의 체제가 지속하는 한 디자인은 언제나 자본주의에 봉사한다.

지금 이 사회가 사회주의라면 사회주의에 봉사할 것이며 

파시즘이라도 혹은 봉건주의라도 그 사회의 보편적 가치에 봉사할 것이다.

디자인은 현재의 보편적 가치를 떠나서는 존재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디자인은 이미지나 도구로서 그 시대의 보편적 가치를 반영하고 형성한다.

디자인은 시대에 한정된다. 디자인의 역사는 스타일로 존재하고 남겨진다.

예술의 스타일은 존재로서 시공간을 넘어 존재 가치가 있지만, 

디자인의 스타일은 시공간 안에서 소비됨으로써 존재 가치를 획득할 자격을 가진다.

때론 디자인이 보편적 가치에 저항하기도 한다. 이것은 주류의 보편적 가치에 대한 저항이다.

 

간혹 새로운 대안으로 연결되도록 요구받는다는 점에서 

설득 가능한 논리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논리는 곧 자유의 제약이며 제한이다.

이런 점에서 디자인은 그 사회의 보편적 가치와 타협함으로써 존재한다.

 

디자인은 클라이언트 프로젝트가 많다.

(여기서 클라이언트는 물질만이 아닌 정신적 가치를 포함한다.

물질적인 클라이언트의 존재 여부는 디자인과 예술의 구분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한다.)

클라이언트는 보편적 가치가 예술성을 갖추도록 요구한다.

이런 요구가 "디자인"이라는 존재를 만들어 내었다.

 

이렇게 예술, 디자인, 보편적 가치는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디자인은 예술과 보편적 가치 사이에서 갈등하고 대화하면서 긴장을 유발한다.

디자인은 예술과 사회의 보편적 가치 사이에 존재함으로써 

둘 사이에서 적절한 타협점을 찾기 위해 늘 노력한다.

어느 한쪽을 거들기도 하고 둘 모두를 부정하기도 하고 타협을 꾀하기도 한다.

 

보편적 가치를 기준으로 할 때 예술과 디자인은 분명 간발의 차이가 있다.

하지만 이 사회는 경험과 상황에 따라 관점의 차이가 다양하므로 

이 간발의 차이를 인식하거나 통일하기는 불가능하다.

그래서 우리는 예술과 디자인의 차이점을 의심하지만, 대화의 결과는 늘 공허하다.

 

 

 

[출처]

ecocreative.khan.kr/67

 

 

--------------------------------------------------------

 

 

예술은 무한한 심미성을 추구하며, 남이 받아들이지 못하더라도 

세상의 만물을 새롭게 보고 남달리 표현하려는 데 그 가치가 있다.

반면 디자인은 궁극적으로 경제적 목적을 달성해야 한다.

아무리 예술적으로 가치 있는 디자인이라도 제작비용이 과다하게 들어가거나 

제한적인 호응으로 인하여 매출에 한계가 있다면 디자인으로서의 가치는 크지 않다.

예술품의 주체는 예술을 창조하는 예술가이지만, 

디자인의 주체는 디자이너가 아니라 사용자임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술가는 자신의 동기에 의해 작품을 만들지만, 

디자인은 제품의 새로운 아이디어나 변화, 혁신을 가시화하려는 작업이다.

 

예술이 창출하는 좋은 작품은 시대를 초월한 감동을 준다.

반면 디자인은 새로운 라이프스타일과 유행을 창출하는 데 관심을 둔다.

그래서 아무리 잘 된 디자인이라도 시간이 흐르면 

수집의 가치는 있을지언정, 대중적인 호응은 줄어든다.

예술이 주는 가치는 장식적인 면이 강하므로 시간이 지나도 그 가치를 인정받지만, 

디자인은 실용적인 면이 더 중요하기 때문에 변화무쌍한 욕구를 가진 

사람들에게 시대적 호응을 얻을 수 있어야 한다.

 

예술을 창조하는 과정이 반드시 체계적일 필요는 없다.

창조의 과정 자체가 퍼포먼스이며 창의적이고 비정형적이어서 

그 과정을 일반화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그에 반해 디자인의 과정은 체계가 있어야 한다.

하지만 디자이너들의 작업 과정에도 예술적 성향과 창의적 방식이 

동원되므로 체계를 갖추고 조직적으로 작업에 임하기가 쉽지는 않다.

 

그래서 아이디오처럼 디자인 방식을 체계화한 기업이 다른 기업의 벤치마킹 대상이 된다.

디자인에서 앞선 나라의 디자이너가 한국 디자이너보다 더 잘하는 것이 있다면, 

그림이 아니라 리서치와 포지셔닝이다.

디자인은 그림을 그리는 일이 아니라 사고의 영역이기 때문이다.

아이디오에 디자인을 의뢰하면 그들은 이 제품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무엇을 체험하게 하고 싶은지부터 묻는다고 한다.

디자인 자체는 뒷전이다.

 

 

 

[출처]

physedu.tistory.com/42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